뉴 어바니스트들은 현대 도시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주거문화 및 도시개발에 관한 도시설계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기존의 어바니즘이, 즉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도시문화(교외화라는 패러다임)가 현대 도시문제의 시작이라는 관점이다. 이들의 대안은 제2차 세계대전 이전의 전통 근린주구에 기초하고 있다. 도시ㅓㄹ계의 영원한 목표인, 인간척도에 맞는 도시를 건설할 것을 주장하며, 보행자 우선 도시, 친환경적 도시건설을 위한 설계원형을 제안하고 있다. 이들의 도시는 실제로 여러 곳에서 건설되었다. 시사이드, 켄트랜즈와 라구나 웨스트의 도시설계는 미국인들에게도 인상깊은 도시설계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뉴 어바니스트들의 노력은 다양한 비판도 받고 있지만, 이를 도시를 아름답게 가꾸고 인간척도의 도시를 만들어 가는 과정이라 본다면 이들이 제안한 설계원형들은 1928년 페리가 근린주구안을 제안한 이후, 도시문화의 발전을 위한 신선한 혁신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시설계는 문화적 맥락과 거주자의 요구를 반영해야 하므로 우리로서도 우리 문화의 고유성, 지역성을 반영 할 수 있는 그리고 설계가의 안목이 반영된 바람직한 도시설계 원형 개발에 중지를 모아야 할 것이다.
이처럼 도심의 주거기능 축소, 도시의 무질서한 공간확산 및 주거지의 교외화, 도시 토지이용의 지나친 기능 분리 등으로 인해 발생한 다양한 도시문제를 종합적으로 개선하고자 뉴어바니즘이 새로운 도시계획 사조로 나타난 것이다.
그리고 뉴어바니즘은 1990년대부터 다양하고 구체적인 도시계획 기법을 통해 현실에 접목되기 시작했다.
예를 들면 스마트 도시성장(smart urban growth), 압축도시(compact city), 혼합적 토지이용(mixed land use), 대중교통 중심개발(TOD: Transit Oriented Development)을 들 수 있다. 스마트 도시성장은 신개발지의 개발보다는 기개발지 내에서 주택, 상업, 업무 기능의 개발을 강조함으로써 신개발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적 비용을 줄여보자는 것이 기본 취지이다.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생활인프라 국가적 최저기준이란? (0) | 2023.02.08 |
---|---|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이란? (0) | 2023.02.08 |
F.S.Chapin의 토지이용결정요인 (0) | 2023.02.08 |
집적경제 및 외부효과란? (0) | 2023.02.08 |
공동구란? (0) | 2023.02.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