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집적 경제는 경제주체들이 특정 공간에 밀집하여 얻게 되는 긍정적 외부효과를 의미한다. 마셜(Marshall)에 따르면 기업들이 인접한 위치에 있게 되면 상품, 인력, 기술 및 아이디어를 교환하는데 비용이 절감되기 때문에 집적 경제가 발생하게 된다. 집적경제가 있는 산업의 경우, 기업들이 인접한 기업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긍정적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기업들이 공간적으로 집중하게 되고, 산업클러스터가 형성된다. 대표적인 예로 첨단기술 산업의 메카로 불리는 실리콘 밸리가 있다.
한마디로 공간적 밀집으로부터 나타나는 잇점을 말한다. 이는 사적부문에서 뿐만 아니라 반민반관, 그리고 공공부문활동과 관련된 외부경제를 대표적으로 유발한다. 지역경제학에서는 어느 특정기업이 아닌 전체도시지역의 규모로부터 초래되는 공간적 집적의 이익을 집적경제라 한다.
*외부경제 효과
- 제3의 활동경제가 자기의 경제활동에 도움을 주는 것
- 지역특성화의 경제(동일업종이 집중되어 이익이 발생)와 도시화경제(상이한 업종이 집중되어 이익이 발생)로 구분됨
- 도시가 일정규모로 성장하게 되면 집적이익이 높아지게 되어 도시내에 있어서 각종 서비스자료 , 정보, 활동 등에 쉽게 접근할 수 있고 활용
- 이와 같은 외부경제의 효과 때문에 도시는 계속 그 집적도가 높아짐(지하철건설로 인한 역부근 서비스시설 집적)
728x90
반응형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어바니즘이란? (0) | 2023.02.08 |
---|---|
F.S.Chapin의 토지이용결정요인 (0) | 2023.02.08 |
공동구란? (0) | 2023.02.08 |
TOD란(대중교통 지향 개발)? (0) | 2023.02.08 |
브이월드(Vworld)란? (0) | 2023.02.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