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

F.S.Chapin의 토지이용결정요인

by glod 2023. 2. 8.
728x90
반응형

1) 경제적 결정요인 : 가격

- 토지가 생산하는 효용가치

- 도시공간구조를 현상화 하는 토지를 일단의 상품으로 간주하고 이는 경제적 지불능력인 지가와 지대에 영향을 받는다고 정의하였으며, 같은 위치, 토지조건이라도 접근도와 서비스 시설의 편의도에 따라 혹은 환경의 질적 조건에 따라 토지의 가격 결정

- 지가가 높고 경제적 여건이 유리한 도심지역은 고밀개발을 통해 백화점, 대기업본사 등이 입지하는 도시중심기능을 수행하고, 지가가 낮은 외곽지역에는 근교산업이 분포, 중간지역에는 토지이용이 혼재된다.

 

2) 사회적 결정요인 : 선호도

- 도시공간 형성을 생태학적 관점에서 파악

- 도시공간구조가 집중과 분산, 침입 및 계승, 지배 및 분리 등에 의한 인간생태학적 및 상호복합적으로 작용되어 결정

- 토지이용의 효율성만을 고려시 구조적 모순이 발생하는 것을 고려, 인간의 가치와 행동이 반드시 효율성에 따라 판단되는 것이 아니라 행동, 선호도, 만족도 등이 도시공간형성 요인으로 작용

3) 공공복리적 결정요인 : 가장 영향력이 크다

- 공익적 측면에서 중앙정부가 주체 규제 인자

- 도시공간구조의 변화는 경제적 인자, 사회적 인자보다 공공복지적 요인이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하여 토지이용계획에 있어서의 공공성을 강조

- 공공복리적 요인은 안정성(Safety), 건강성(Healty), 쾌적성(Amenity), 편리성(Convenience), 효용성(Efficiency) 등 세부적 요인으로 구성

Safty(안정성) : 자연재해 사고로부터 안정성확보

Healthy(보건성) : 인간의 정신적, 신체적 건강을 확보

Convenience(편의성) : 기능지역간 상호관계 고려

Amenity(쾌적성) : 환경이 주는 즐거움, 경관의 쾌적성, 공원이 주는 안정성 등

Economy(경제성) : 공적인 경제적 낭비를 최소화

728x90
반응형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이란?  (0) 2023.02.08
뉴어바니즘이란?  (0) 2023.02.08
집적경제 및 외부효과란?  (0) 2023.02.08
공동구란?  (0) 2023.02.08
TOD란(대중교통 지향 개발)?  (0) 2023.02.0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