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그린 뉴딜은 녹색을 뜻하는 그린과 미국 루스벨트 대통령이 1930년대 대공황 극복을 위해 추진한 경제정책인 '뉴딜'의 합성어로 기후변화 대응, 신재생에너지 전환 등 환경에 대한 투자를 통해 경기 부양과 고용 촉진을 끌어내는 정책을 뜻한다. 야생 동물의 서식지 감소가 신종 바이러스 출현의 배경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 코로19확산 이후 환경과 공존하는 인류의 삶에 대한 세계적 관심이 커지며 그린 뉴딜이 포스트코로나의 핵심 과제로 떠올랐다.
한국판 뉴딜은 크게 디지털 뉴딜, 그린 뉴딜, 안전망 강화를 3대 프로젝트로 꼽았다. 기후변화 대응 및 저탄소 사회 전환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인프라와 에너지의 녹색 전환과 녹색산업의 혁신 등 탄소중립 사회로 발전하는 것이 한국형 그린 뉴딜의 주요 과제라 할 수 있다. 그린 뉴딜 정책을 통해 2025년까지 일자리 창출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 내용
1. 도시·공간·생활 인프라 녹색 전환
- 공공시설 제로 에너지화
- 국토·해양·도시의 녹색 생태계 회복
- 안전한 물관리 체계 구축
2. 저탄소·분산형 에너지 확산
- 에너지 관리 효율화 지능형 스마트 그리드 구축
- 신재생에너지 확산 기반 구축 및 공정한 전환 지원
- 전기차·수소차 등 그린 모빌리티 보급 확대
3. 녹색산업 혁신 생태계 구축
- 녹색 선도 유명 기업 육성
- 저탄소·녹색 산업단지 조성
- 온실가스 감축 및 미세먼지 대응을 위한 R&D·금융 등 녹색 혁신 기반 조성
728x90
반응형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역개발사업구역과 투자선도지구의 차이점과 각각의 지정조건 (0) | 2023.01.19 |
---|---|
과대과밀도시와 정체쇠퇴도시에서 나타나는 문제점 (0) | 2023.01.19 |
공공임대주택의 종류 (0) | 2023.01.19 |
결합개발제도란 (0) | 2023.01.19 |
경관협정의 체결절차 (0) | 2023.01.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