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도심융합특구2

도심융합특구사업 활성화 배경 과거에는 수도권에 기획·관리·R&D기능이 입지하고, 지방에는 제조·양산기능을 특화하는 지리적 분업구조가 작동했으나, 현재는 생산기지의 자동화와 해외 이전 등의 영향으로 인해 혁신기능에 투자하지 못하면 지방 산업도시 역시 경쟁력을 유지하기 어려움 좋은 기업이 유치된 곳에 인재들이 따라갔던 과거와 달리, 창의적인 인재가 이미 몰려 있는 곳을 기업이 따라가는 경향이 강화되면서 혁신기능의 입지는 오히려 수도권으로 집중 지역산업의 혁신과 변화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인재들의 왕래와 연결을 자연스럽게 촉진할 수 있는 도심형 창의산업 거점공간 육성이 필요 지방에도 초기 단계 창업활동을 위한 인프라는 연구소 분원, 대학 창업보육센터, 국가산단 등을 중심으로 잘 조성되어 있으나 보육기간 종료 후 Post-BI지.. 2023. 2. 3.
도심융합특구 도심융합특구는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비수도권 광역시 도심에 혁신거점을 구축하는 것으로, 특구내에서는 청년인재의 유출을 막기 위해 다양한 공공의 지원이 종합적으로 이루어진다. 향후 도심융합 특구가 성공적으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특구 조성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관련 법 제정, 범부처 차원의 지원연계 강화 및 운영체계 마련, 다양한 형태의 지역 갈등 해소 방안 마련 등이 필요하다. 특구는 특정 지역에 다양한 특례를 제공하기 위해 지정되며, 지역특화발전특구·규제자유특구, 연구개발특구 등이 있다. 도심융합특구는 비수도권 청년 인재의 유출을 막고 정착을 지원하기 위해 기존 도심지역에 여러 기능이 복합적으로 연계된 혁신 공간을 조성하는 것으로, 현재 개별법에 각각 분산되어 있는 여러 특구의 특례를 중복하여 적용할.. 2023. 1. 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