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

도시성장거점이론에 대하여..

by glod 2023. 3. 22.
728x90
반응형

도시성장거점이론은 경제성장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불균형한 지역간 발전을 보완하고자 등장한 이론입니다. 이 이론의 핵심 개념은 '성장극(Growth Pole)'입니다. 성장극은 대표적인 산업이 집중되어 있는 지역으로, 그 지역의 경제력이 강한 영향을 주어 전반적인 지역의 발전을 이끌어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성장극은 주로 대도시나 대학교 등 기존의 발전 중심지가 그 역할을 수행하게 됩니다. 이러한 성장극에서 산업체가 집중되고 생산력이 증대되면, 일자리 창출과 인구 이동 등이 일어나게 되고, 이는 다른 부문으로도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성장극에서 기술력이 발전되면, 그 지역에서 기술적으로 관련된 산업체들의 수요가 늘어나고, 이는 다른 지역의 산업체에도 영향을 미치며 전반적인 경제 성장을 이끌어냅니다.

 

하지만, 도시성장거점이론은 발전 중심지에 집중되는 것이 아닌, 전국적인 균형발전을 추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성장극과 관련된 부문들을 골고루 발전시켜 나가야 합니다. 이러한 발전 방식을 통해 성장극과 그 주변 지역 간의 격차를 최소화하고, 전국적인 발전을 이루어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도시성장거점이론은 경제적으로 발전하는 도시들을 중심으로, 그와 연관된 산업부문을 골고루 발전시켜 나가는 방식으로 전국적인 균형발전을 추구하는 이론입니다. 이를 위해 지역 간 경제 격차를 최소화하고, 전국적인 발전을 이루어나가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론 자체는 원래 프랑스 경제학자 페로(F. Perroux)의 성장극 이론(Growth Pole Theory)에 기초하고 있으며, 후에 보데빌(J.R. Boudeville) 등의 학자들이 지리적 공간 개념의 성장거점(Growth Center) 이론으로 발전시켜 나가면서 현재의 도시성장거점이론으로 이어졌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