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트&스타인에 의한 근린주구 모델로 주택·도로·공원·녹지공간, 건물·블록 및 주구중심지와의 관계를 과거의 공간구성과 배치개념에서 탈피하여 슈퍼블럭의 계획, 기능별 도로망계획, 보차분리 등의 새로운 기본구상이 도입되어 각국의 뉴타운과 커뮤니티계획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근린주구의 기본이념은 근대도시의 주택지계획과 나아가 신도시갭라계획의 기본적 요소가 되었으며 전세계적으로 폭넓게 영향을 미쳤다.
1928년 미국 뉴욕에서 24km 떨어진 New Jersey에 개발된 신도시로서 영국의 하워드의 전원도시 개념을 적용
규모 : 420ha
인구 : 25,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도시를 제안
보행자와 차량의 완전한 분리
서비스 공간은 접근 도로 쪽에 가깝게 배치
경기침체로 인하여 원래 계획의 일부분만이 실현
레드번 계획의 개요
12~20ha의 슈퍼블록 단위로 계획
격자형 체계로 인한 도로율 증가 방지
학교를 중심에 배치 : 통학의 안전성 제고
초등학교 800m, 중학교 1,600m의 반경권
기본원리
통과 교통 배제를 위한 Super Block 구성
도로에 기능부여(통과교통억제, 4가지 기능의 도로)
보도망의 형성 및 보차분리(보행자의 보도와 차도를 분리)
쿨데삭 및 주도로와 보행로의 교차지점 입체화
쿨데삭형의 좁은 도로 구성 : 주택의 거실을 보도·정원으로 향하도록 배치
오픈스페이스망 조성
단지 중앙에 대공원 설치, 주택후면에 공원 및 녹지 대 배치 → 골목의 녹지공간화
슈퍼블럭(대형 가구 또는 초가구) ?
대형가구의 내부에 자동차의 통과를 배제함으로써 격자형 도로에서의 불필요한 도로율 증가와 단조로운 외부공간의 형성을 방지하고, 특히 자동차가 없는 안전한 보행자 전용도로를 조성하고 여기에 상업시설·학교·공원 등의 공공시설을 배치함으로써 쾌적하고 편리한 주거생활공간을 창출하기 위한 가구구성 기법이다.
슈퍼 블록을 구성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는 효과(장단점)
건물을 집약화함으로써 고층화, 효율화 가능
충분한 공동의 오픈스페이스 확보가 가능
도로교토의 개선, 즉 보도와 자동차도로의 완전한 분리가 가능
전력, 난방, 하수, 쓰레기 수집등의 도시시설의 공동화 가능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