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경관계획의 개요(1단계)경관계획수립의 기본방향 및 목표 설정
경관자원 현황조사 분석(2단계)계획대상지의 경관적 가치 판단, 다양한 경관적 특성 파악을 위한 조사자연경관요소와 인공경관요소를 대상으로 한 물리적 직접조사 영역(1차적 경관요소)점적·선적·면적 경관요소의 정합성을 도출하여 경관 구상과 개선방향 모색
경관기본구상(3단계)경관자원현황조사 분석과정에서 종합분석, 과제도출을 연결하여 경관계획의 기본골격을 구상하기 위한 방향설정
경관기본계획(4단계)경관구조 및 특성을 구체화 하기 위한 계획 모색경관관리계획과 경관형성계획을 중심으로 한 경관중점관리지역 수립하여 경관지구 지정, 경관사업대상지 설정 등의 관리·사업·유도를 위한 기본계획 수립
경관실천계획(5단계)실행수단으로 경관지구지정, 경관조례제정, 경관관리지침운용, 미관지구관리방안 등을 제시

728x90
반응형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3기 신도시에서 적용되고 있는 도시건축통합계획 (0) | 2023.01.16 |
---|---|
도시화와 역도시와의 개념 및 도시화와 역도시화의 연관성 (0) | 2023.01.15 |
가로주택정비사업의 배경과 활성화 방안 (0) | 2023.01.15 |
「도시·군계획시설의 결정·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규정하고 있는 "도로의 구분"을 사용 및 형태별 구분, 규모별 구분, 기능별 구분 (0) | 2023.01.15 |
특별계획구역, 특별건축구역, 특별가로구역 (0) | 2023.01.15 |
댓글